본문 바로가기
야구이야기

삼성 오승환 복귀 징계 연봉 통산성적 총정리

by BJSJ 2020. 6. 3.
반응형

작년 메이저리그 생활을 정리하고 국내 복귀를 선언, 원소속팀 삼성으로 복귀한 오승환 선수가 출장정지 징계 종료가 끝나가면서 복귀를 앞두고 있다. 오늘은 오승환 선수의 프로필, 연봉, 징계, 통산성적 등 오승환 선수 관련 내용을 총정리해 보았다.



오승환 선수 프로필

※ 자료 출처 : KBO


오승환 선수는 82년생으로 만 37세이며 7월 15일이 되면 만 38세가 되는 최고참 선수이다. 전라북도 정읍 출신으로 경기고와 단국대를 졸업하고 2005년 신인드레프트 2차 1라운드 전체 5순위로 삼성에 지명되어 프로에 데뷔하였으며 입단 당시 계약금은 1억8천만원이었다.


2005시즌 프로야구 신인드레프트 2차 지명에서 각 구단별 1순위 계약 선수는 아래와 같으며 오승환 선수는 SK 정근우 선수와 함께 대졸 선수로는 유이하게 1순위에 선발되었다.


1. 롯데 : 조정훈 용마고 투수

2. 두산 : 서동환 신일고 투수

3. LG : 정의윤 부산고 외야수

4. 한화 : 양훈 속초상고 투수

5. 삼성 : 오승환 단국대 투수

6. KIA : 윤석민 야탑고 투수

7. SK : 정근우 고려대 내야수

8. 현대 : 차화준 경주고 내야수


프로 데뷔 시즌부터 줄곧 빼어난 성적을 기록한 오승환 선수였기에 연봉 역시 데뷔 2년차였던 2006시즌 전년보다 225% 인상된 6,500만원을 받은 이후 2009년과 2010년에 부상 여파로 연봉이 동결 및 하락하였던 시기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일본 진출 전 마지막 해였던 2013년에는 5억 5천만원을 받았다. 


그리고 시즌 중 복귀한 2019년에는 6억(출장정지 감안시 약 3억)에 계약하였으며 2020년 올 시즌에는 총액 최대 18억원(계약연봉 12억에 옵션 6억)에 계약하였다.


<오승환 선수 연도별 연봉 추이>

오승환 선수 연도별 연봉 추이


오승환 선수는 2015년 사회적으로도 많은 파장을 몰고왔던 원정도박사건의 당사자로서 74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았으며 해당 징계는 선수가 국내리그에 복귀하는 순간부터 적용되는 만큼 작년부터 출장정지 징계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시즌 정상적으로 경기가 진행된다면 6월 9일 키움히어로즈와의 경기부터 출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작년 복귀 선언 이후 팔꿈치 수술을 받고 재활을 해왔으며 징계로 인해 2군 경기에도 출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전 감각에 대한 우려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2군 경기 등판 없이 1군 경기에 바로 출장할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 인데 삼성에서는 "오승환 선수는 검증이 필요한 선수가 아니다"라는 말로 징계해제 후 즉시 1군 경기 출장을 암시하고 있다. 아마도 첫 경기는 7회나 8회 정도에 나와 실전 감각을 끌어 올리지 않을까 예상해본다.


통산성적

오승환 선수는 2005년 데뷔 이후 2013년까지 9시즌동안 삼성에서만 활약하였으며 프로데뷔 첫 시즌이었던 2005년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 팀의 마무리 투수로 출장하여 총 444경기 510 1/3이닝을 투구하면서 28승 13패 277세이브 11홀드 평균자책점 1.69를 기록중이다. 


무엇보다 510 1/3 이닝동안 625개의 삼진을 기록 9이닝당, 삼진 개수가 11.1개로 압도적인 구위로 타자들을 상대하면서 많은 세이브를 수확하였다. 이번 시즌 복귀 후 팀의 마무리로 경기에 나설 예정이므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한국프로야구 최다 세이브 기록은 자체 갱신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실력을 고려했을 때 삼성에서 세이브 기회만 자주 만들어 준다면 이번 시즌에 300세이브 돌파도 가능할 듯하다.


오승환 KBO 통산 성적

※ 자료 출처 : KBO


오승환 선수는 데뷔 시즌인 2005년부터 괄목할만한 성적을 거두었는데 61경기에 모두 구원으로 출장 99이닝을 던져 10승 1패 16세이브 11홀드 평균자책점 1.18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활약으로 승수와 세이브 홀드를 모두 10개 이상 기록한 트리플 크라운의 주인공이 되었는데 이러한 성적은 KBO 역사에 전무후무한 기록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기록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비슷한 선수가 떠오르는데 2015년 삼성에서 한화로 이적한 후 첫 시즌을 보냈던 권혁 선수이다. 당시 권혁 선수는 78경기에 모두 구원으로 출장하여 112이닝을 투구 9승 13패 17세이브 6홀드 평균자책점 4.98을 기록하였다. 당시 김성근 감독의 혹사 논란이 있었...

 

오승환 선수는 한국시리즈에서도 좋은 활약을 펼쳤는데 총 6번의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어 총 22경기에 출장, 33과 1/3이닝을 투구하면서 1승 1패 11세이브 평균자책점 0.81이라는 극강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 자료 출처 : KBO


오승환 선수가 한국시리즈에서 유일한 패배를 기록한 경기는 2013 한국시리즈에서였는데 대구에서 두산을 상대로 벌어진 2차전에서 혼자 4이닝을 책임지는 동안 8개의 삼진을 잡으며 분투했지만 13회 초 오재일 선수에게 1점 홈런을 맞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13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2차전 오재일 선수가 오승환 선수 상대로 결승 홈런>



하지만 오승환 선수가 나머지 3경기에서 모두 세이브를 기록하면서 삼성은 그해 한국시리즈에서 먼저 2차전을 내주고도 4승 3패로 역전 우승하는 기쁨을 누리게 되었다. 


2020시즌 복귀하면 이제는 두산의 중심타자가 된 오재일 선수와의 맞대결이 궁금해진다.  


일본프로야구 및 메이저리그 성적


선동렬 선수 이후 최고의 마무리 투수로서 한국프로야구 무대를 평정한 오승환 선수는 2014시즌을 앞두고 한신타이거즈와 계약하여 일본프로야구에 진출한다. 돌직구가 일본에서도 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졌으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2시즌 동안 한신의 붙박이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면서 127경기에 출장 136이닝을 던지면서 4승 7패 80세이브 평균자책점 2.25를 기록하였다. 


<오승환 선수 일본프로야구 성적>

 

 경기

이닝

 승

 세이브

홀드

ERA

비고 

 2014시즌

 64

66 2/3

2

4

39

5

1.76

세이브1위 

 2015시즌

 63

69 1/3

2

3

41

7

2.73

세이브1위 

 합계

 127

136

4

7

80

12

2.25

 


오승환 선수가 일본리그에서 활약하면서 받은 연봉은 계약금 2억엔, 연봉 각 3억엔씩 2년간 6억엔, 옵션 5천만엔, 이적료 5천만엔 등 총액 9억엔으로 당시 환율 기준 약 93억(현재 기준 약 100억원) 수준이다. 확실히 일본이 연봉이 쎄긴 쎄다



이후 꿈에 그리던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오승환 선수는 세인트루이스, 토론토, 콜로라도에서 4시즌을 보내면서 232경기에 출장 225 2/3 이닝을 던져 16승 13패 42세이브 45홀드 평균자책점 3.31을 기록하였다. 


<오승환 선수 미국프로야구 성적>

 

소속팀

경기

이닝

세이브

홀드

ERA

2016시즌

STL

76

79 2/3

6

3

19

14

1.92

2017시즌

STL

62

59 1/3

1

6

20

7

4.10

2018시즌

TOR

48

47

4

3

2

13

2.68

2018시즌

COL

25

21 1/3

2

 

1

8

2.53

2019시즌

COL

21

18 1/3

3

1

 

3

9.33

합계

 

232

225 2/3

16 

13

42

45

3.31


오승환 선수가 메이저리그에서 계약한 내용은 세인트루이스에서 2년간 최대 1100만 달러(실수령은 800만달러였다라는 Ssul), 이후 토론토와 계약하면서 1+1년 조건에 1년차에 200만달러 와 옵션 150만 달러  등 최대 350만달러 그리고 2년차에는 연봉 250만달러와 옵션 150만달러 등 2년간 총액 750만 달러였다. 


메이저리그 계약의 경우 중간계투라는 특성과 계약 당시 나이 등을 고려 보장금액보다는 옵션의 비중이 높은 계약을 했으며 콜로라도에서 맞이한 마지막 시즌에는 중도에 계약을 해지하면서 많은 금액을 수령하지는 못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메이져리그 경기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은 선수들에게는 돈과 함께 더불어 꿈과 명예라는 가치가 더해지는 만큼 후회없이 뛰지 않았을까라고 생각해 본다.


이번 시즌 돌아오는 돌부처 오승환 선수가 어떤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그동안 발전해온 국내 타자들과 과연 어떤 승부를 펼치게 될지 궁금해진다.


※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도 누를 수 있는 공감♡ 한번 꾸욱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댓글